혁신기업을 선도하는 기술보증기금
본문에서 소개할 기술보증기금 연봉 자료를 살펴보면, 2022년 예산을 기준으로 경영평가 성과급을 제외한 1인당 평균 연봉은 약 9,062만 원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다. 이는 평균 근속연수 약 17년을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이다. 또한, 2022년 예산 기준 신입사원 평균 연봉은 약 4,860만 원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다. 기술보증기금 연봉 관련 상세 자료는 알리오에서 기관별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술보증기금 개요
技保는 기술보증기금법에 의해 설립된 정부출연기관으로서 기술혁신형 기업에 기술보증 및 기술평가를 중점 지원하여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동력 창출의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금융 전문 지원기관이다. 기술보증기금은 1989년 설립 이후 국내 최초로 기술평가시스템을 도입하여 중소기업의 미래가치를 발굴하고 기술금융이라는 신시장을 개척해왔다. 기술평가 역량을 바탕으로 기술혁신형 기업에 기술보증·기술이전·투자·컨설팅 등 금융과 비금융 사업을 함께 지원함으로써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창출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사업
기술보증기금의 주요 사업은 신용보증 기술보증, 기술평가, 기술지도 및 경영지도, 구상권 관리, 신용보증제도의 조사·연구 등을 수행한다. 특히, 창업·R&D·사업화 등 기술혁신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기술평가를 통해 공급하는 기업금융의 형태로서 기술금융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술평가는 기술 금융 공급자와 수요자 간 정보 비대칭성과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사업으로서 기보는 국내 최고의 기술평가 인프라를 바탕으로 창업(준비) 단계부터 위기/재도전 단계에 걸친 다양한 성장단계별 기술금융상품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 채용
서류전형은 NCS 기반 자기소개서(50점), 교육사항(25점), 자격사항(25점)을 평가한 점수와 가점까지 합산한 총점을 기준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또한, 자기소개서의 불성실 기재 문항은 최저등급 처리된다. 필기전형은 직업기초능력 평가(40점)와 직무수행능력 평가(60점)를 합산한 점수와 가점까지 합산한 총점을 기준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직무수행능력 평가의 경우 부문에 따라 경제, 경영, 직무상황 논술평가를 실시한다. 면접은 두 차례 걸쳐 진행되며 1차 면접(실무자) 전형은 조직적 합성(35점)과 직무적합성(40점)과 토론(25점)을 합산하고 AI 역량검사(적부 심사)를 실시한다. 2차 면접은 종합적 합성(30점), 1차 면접전형(25점), 필기전형(25점)을 합산한 점수로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