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리뷰

철덕들이 가고싶어 하는 공기업, 국가철도공단

이모저모모든것 2022. 6. 27. 09:18
728x90

국가철도공단은 흔히 말하는 '철덕'들이 가고 싶어 하는 공기업 중에 하나이다. 공기업 준비생들은 국가철도공단을 줄임말로 국철공으로 부른다. 매년 채용을 하긴 하지만 뽑는 인원수가 한 자릿수이기 때문에 제대로 준비를 하지 않고서는 합격의 문턱도 가지 못한다. 흔히 한국철도공사와 같은 회사로 오해하기도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서로 다른 회사이다. 한국철도공사는 열차의 전반적인 운행을 담당한다면 국가철도공단은 열차가 운행을 하기 위한 철도 인프라를 계획하고 건설 및 관리를 한다.

 

국가철도공단 연혁

국가철도공단은 1894년 의정부 산하 공무아문에 '철도국'이 설치로 역사가 시작된다. 1897년 경인선(인천~노량진)을 시작으로 1899년 경인선 개통(인천-노량진), 1905년 경부선 개통(서울-초량), 1906년 경의선 개통(용산-신의주), 1914년 호남선 개통(대전-목포) 등 대한민국 전역 곳곳에 뿌리처럼 뻗어나갔다. 1955년 경부선 특급 통일호 운행을 개시하였다. 1974년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을 개통하였다. 1979년 국산 디젤 기관차 운행을 개시하였다. 2004년 1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출범하였고 7월에는 철도건설 ISO 9001/14001(품질 및 환경) 통합인증을 취득하였다. 국가철도공단은 2004년 1월 과거 철도청 건설분야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하나로 출범된 국토교통부 산하 공기업이다. 2020년 6월 국가철도 공단법 개정에 의거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국가철도공단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주요사업

국가철도공단은 국민생활과 나란히, 누구나 누리는 철도를 비전과 국민이 원하는 경쟁력 있는 철도, 국가 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철도, 그린 모빌리티의 중심이 되는 철도를 목표로 7대 추진과제를 선정하였다. 7대 추진과제는 철도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용량 부족 해소 및 기존 노선 급행화, 주요 거점 간 고속 연결을 위한 일반철도 고속화 및 고속철도 운행지역 확대, 비수도권 광역철도 확대를 위한 기존 노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 구축 및 지방 대도시권 등 활성화를 위한 신규 광역철도 건설, 수도권 교통혼잡 해소를 위한 광역급행철도망 구축 및 신규 광역철도망 확대, 산업발전 기반 조성을 위한 철도를 통한 산업활동 지원 및 철도산업 도약을 위한 기반시설 조성, 안전하고 편리한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성능 중심 철도시설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철도안전 강화 및 이용자가 편리한 철도환경 조성과 환경친화적인 철도건설 추진, 남북 간 대륙철도 연계 대비를 위한 통일시대에 대비한 남북철도 연결을 남부/대륙철도 연결 및 국제철도 운행 준비가 그것이다. 이로 인한 기대효과로는 철도영업거리가 2019년 4,274km에서 2030년 5,341km로 125%를 증가시키고 철도 수송분담률을 2019년 11.5%에서 17.0%으로 5.5%p 증가시킬 예정이다. 또한 국민들의 생활여건 개선으로 인한 수도권 및 지방 대도시권 등 주요 광역권 출퇴근 시간 단축, 환경오염물질 배출 저감으로 연간 미세먼지(PM2.5) 204톤 이상 감소 이밖에도 연간 일산화탄소(CO) 6,781톤, 질소산화물(NOx) 3,657톤,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536톤 이상 감소되는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채용

국가철도공단의 일반직 채용과정은 1차(서류전형)-2차(필기전형)-3차(면접전형) 순으로 이루어진다. 1차(서류전형)에서는 자기소개서를 바탕으로 채용분야별 자격증, 가점사항 등에 대한 직무능력 평가를 실시한다. 각 모집단위별 고득점자 순 채용예정인원의 30 배수를 선발한다. 국가철도공단은 자기소개서에서도 기타 공기업과는 다르게 중요하게 고려되는 전형이므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본인의 솔직한 경험과 잠재성을 충분히 녹이는 것이 중요하다. 2차(필기전형)에서는 각 모집 단위별로 시행하는 시험의 점수를 합산하다. 인성 검사 적합자 중 시험성적이 매 과목(NCS직업기초능력, 직무수행능력) 4할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할 이상 되는 자 중에서 고득점자 순으로 합격자를 결정한다. 모집분야별 필기시험 유형 및 출제범위는 사무직군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이고 기술직군은 사무직군 과목에서 조직이해능력 대신 기술능력이 들어간다. 직무수행능력 평가는 사무직군은 경영, 법정, 시험분야 중 한 가지를 선택하면 되고 출제과목은 통합 시험이다. 기술직군은 해당 직렬(직무)별 출제과목 통합 시험을 치른다. 3차(면접전형)에서는 직업기초능력 면접(60%)과 직무수행능력 면접(40%)으로 구성된다. 직업기초능력 면접은 인성 등 직업인이 갖추어야 할 기초능력을 평가하고 직무수행능력 면접은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을 평가한다. 필기시험(가산점 포함) 60%와 면접시험(가산점 포함) 40%를 반영하여 합산한 뒤 고득점자 순으로 최종합격자를 결정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