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플랜트에 대한 Total 솔루션 기업 한전KPS
본문 바로가기

공기업 리뷰

발전플랜트에 대한 Total 솔루션 기업 한전KPS

728x90

한전 KPS는 발전플랜트의 유지·보수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에 발전소 근처에서 근무를 한다. 근무지 여건이 좋지는 않지만 이에 상응하는 연봉과 복지로 인해 워라벨이 보장되어 있어서 한전 KPS에 근무를 희망하는 지원자들이 많다. 한전 KPS를 희망하는 지원자를 위해 한전 KPS에 대한 기업정보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전KPS 로고

한전 KPS 역사

한전 KPS는 1974년 10월 발전설비 정비 전담업체인 한아 공영(주)의 설립을 시작으로 1977년 8월 한국전력공사가 주식을 매입하여 보수 전담회사인 한전 보수 공단(주)으로 상호를 바꾸었다. 1984년 한국전력 보수(주)를 설립하였고 1990년 기술연구원을 개원하였다. 1992년 11월 한전기공(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7년 1월 한전 KPS(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2월 주식을 상장하였다. 한전 KPS는 축적된 기술과 장비 노하우를 활용하여 국민에게 고품질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에 기여하고 있으며, 기술자립과 전문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전 KPS 주요 사업

한전 KPS는 국가경제의 대동맥과 같은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인 전력설비의 유지·관리를 위해 본사 및 전국 수화력·원자력·송변전·특수 사업소에서 국내 발전설비 및 산업설비에 대한 고품질 책임정비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가공송전설비를 유지정비 함에 있어 고가의 특수장비를 사용한 장기간 설비의 특성 분석과 정보를 관리하여 설비 최적관리는 물론 재해·재난 등 대규모 고장 발생 시 즉시 출동할 수 있는 체계를 확보하고 있으며, HVDC 변환설비 정비 및 전력시설물 설계, 송전 및 전차선로의 건설, 감리 등 Total 정비체계를 구축하고 산업설비 유지·보수와 설계, 시공에도 참여하고 있다. 

 

한전 KPS 채용

한전 KPS 채용은 1차 전형의 경우 서류심사로 영어성적, 자격증, 가점사항, 직무능력 기반 지원서(적/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이후 2차 전형은 필기시험으로 응시분야별로 직업기초능력(NCS, 100점) 및 전공(50점) 시험을 실시하고 과락을 제외한 3 배수를 선발한다고 한다. 3차 전형으로 면접전형을 실시하며 개별면접(100점) 및 토론면접(100점)을 실시한다. 최종합격자를 결정 시 필기시험 점수와 면접 점수를 합산하여 결정한다.